지정폐기물처리업관련한 인허가 절차입니다.
지정폐기물처리사업을 하시려고 준비하는 분들은 아래의 절차를 참고하셔서 진행하시면
별무리없이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민원해결과 공무원들과의 관계입니다.
저 나름대로의 방법이니 참고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폐기물처리업 인.허가 절차>
1. 사업계획서 작성 후 시.군 환경과 및 환경청 제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은 자료에 있으니 참조바랍니다.)
2. 환경청에서 담당 시.군에 검토 요청(관련법 위반여부 확인)
3. 시.군 도시계획 심의위원회에서 개발행위 허가 심사
4. 시.군에서 면사무소에 협조 요청(공장부지 주변마을 민원해결(?) 및 적법 유무 확인)
5. 시.군에서 환경청에 적합 통보, 환경청은 사업당사자에게 적합 통보
6. 시.군에서 개발행위 허가 득한 후 토목공사 시작 (지적과와 토목과에서 사전 답사 후 가능)
7. 관련 설비 제작 의뢰 (3개월~6개월정도 소요되므로 사전 작업 필요)
8. 설비 셋팅 후 환경청에 허가 요청하면 현방 방문 후 허가증 우편으로 송부
9. 공장 정상가동전 설비 검증을 위한 사용개시를 받아야 하는 설비에 대해 환경청에 사용개시를 받아야 함
10. 환경청에서 국립환경과학원에 설비 검증 요청하면 공장 방문 후 설비 검증 후 샘플 채취
11. 환경청에 임시사용승인 허가요청 후 허가를 득한 후 변압기 영업 개시
12. 설비 검증일정 환경청에 통보하면 환경청에서 국립환경과학원에 통보
13.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설비 검증차 방문 후 분석용 샘플 채취.
14.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분석 후 설비의 적법유무를 환경청에 통보하여 적법하다고 판단이 나오면 사업자는 사용개시신고서를 작성하여 환경청 제출하면 됨
(방치폐기물이행보증증권을 끊어서 함께 제출)
15. 사용개시 신고서를 수렴한 환경청 담당자는 사용개시신고증을 우편으로 송부(7일 소요)
16. 올바로 시스템등록 후 사업 정상 가동 시작.
다음 시간엔 일반폐기물과 수집운반업허가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재생에너지분야 >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하수처리장 운영현황 (0) | 2013.02.08 |
---|---|
가축분뇨 통계자료 (2) | 2013.02.08 |
사업장폐기물 질의 회신 사례집입니다. (0) | 2013.02.08 |
가연성폐기물 직매립 금지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방안 (0) | 2013.02.07 |
친환경퇴비 생산시설 현대화 사업 (0) | 201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