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리대상기기

PCBs함유 관리대상기기 처리 기한(?) 오늘은 2008년이전 생산된 유입식변압기 즉 PCBs함유 관리대상기기 처리기한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2008년 이전에 생산된 유입(油入)변압기에는 절연물질로 PCBs(폴리염화비페닐스)를 넣었습니다. 문제는 이 물질이 신경계통을 마비시키는 유독물질이라는 것입니다. 스스로는 없어지지 않고 유출되면 다시 우리몸으로 돌아오는 물질입니다.그래서 국제적으로 이물질을 처리하자고 약속을 하였고 우리나라는 2025년까지 처리를 완료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한전전신주에 달려 있는 변압기의 경우 단전을 한 후 절연유를 채취 후 PCBs검사를 하여야 하는데 대도시의 경우 상가가 많이 밀집돼 있다보니 작업이 쉽지 않아 2년 더 연장하기로 하였습니다. 한전은 2027년까지 관리대상기기를 처리완료하기로 약속하였습니다.문제.. 더보기
폐변압기처리절차 오늘은 많은분들이 궁금해하시는 폐변압기처리절차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변압기는 기름이 들어가있는 유입(油入)식과 기름이 들어가있지 않는 건식(몰드변압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건식은 일반폐기물이므로 재활용업체에 배출하면 됩니다. 유입식은 지정폐기물이면서 관리대상기기로 분류되어 생산년도에 따라 pcbs성분함유량에 따라 배출방식이 다릅니다. 이와 관련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PCBs란? 뭐냐부터 알아봐야 겠죠?폴리염화비페닐이라고 부르며 벤젠고리 두개에 염소가 붙어 있는 구조입니다. 이물질은 절연성질이 강하여 전기자재쪽에 많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유입식변압기 기름안에 섞어서 사용되었습니다. 이물질은 잔류성유기오염물질로 분류되어 스스로 없어지지 않고 돌고돌아 다시 우리몸속으로 들어온다고 합니다. 북극곰.. 더보기
mof 처리방법 오늘도 제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이글을 읽는 분 모두에게 하나님축복이 넘치고 올한해 계획하신일 모두 이루어지는 한해가 되길 바랍니다. 오늘은 밀폐식유입기기 중 mof. ass. condensor 등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사진처럼 생긴것들은 유입식이면서 밀폐식인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이런 구조는 밀폐식구조라 밸브나 뚜껑이 없어 pcbs분석을 할 수 없습니다.분석을 하려면 구멍을 뚫어야 하는데 그럴경우 기름이 누유될 수 있습니다.그래서 pcbs분석없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단, pcbs2ppm이상으로 처리하셔야 합니다.분석비나 처리비는 별 차이가 없습니다.보통 분석비도 개당 10만원에 출장비20만원을 받고 있습니다. 처리비도 개당 10만원에 운반비는 별도로 받고 있습니다.이런류가 발생되면 연락주.. 더보기
PCBs처리시 궁금한 사항 오늘은 많은 분들이 전화 문의를 주시고 궁금해하시는 부분에 대한 궁금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PCBs란? 유입식전력기기에(기름이 들어 있는 변압기등) 들어가 있는 절연물질이며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스라고 불리며 벤젠고리두개에 염소가 치환되어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자연적으로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된 물질이지만 일반소각시 다이옥신이 발생합니다. 또한 몸속에 들어갈 경우(주로 생선을 통해 섭취됨) 신경계통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PCBs의 농도를 2ppm을 기준으로 하여 처리기준을 마련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많은 업체들이 2ppm이상시 화학적 처리방법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2. 관리대상기기란? 이런 PCBs물질이 들어가 있는 유입식(절연유)전력기기를 사용자가 지자체에 신고하여 관리되고.. 더보기
관리대상기기 처리 PCBs(폴리클로리네이티드 비페닐스) 함유 변압기를 처리하기 위해선 우선 관리대상기기란 용어를 알아야 합니다. 관리대상기기란 2008년 이전 생산된 유입식(기름이 들어있는)전력기기를 말합니다. 전세계적으로 변압기내부의 기름에 절연물질로 효과가 뛰어난 PCBs물질을 넣어서 사용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물질은 자연적으로 없어지지 않고 다시 순환되어 우리 몸속으로 들어와 우리의 신경계통을 마비시킨다는 보고가 있었고 실제로 일본에서 이물질이 들어간 기름을 사용한 사람들이 신경마비가 와서 큰사회적인 문제가 되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는 POPs물질 8가지 중 PCBs 물질을 2025년까지 처리완료하기로 국제적으로 약속을 한 후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을 만들어 2007년 이후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2008년 .. 더보기
PCBs함유 변압기 처리절차 폐변압기가 발생하면 아래와 같은 절차대로 처리하시면 됩니다. 첫째, 관리대상기기신고가 되어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보통 변압기의 경우 관리대상기기 신고가 되어있지만 MOF,ASS,컨덴서등은 신고가 안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경우 밀폐식구조의 유입식전력기기는 PCBs분석을 하지 않고 PCBs2ppm이상으로 배출신고하셔도 됩니다. 왜냐하면 분석비용이나 처리비용이나 비슷하게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만약 변압기가 관리대상기기신고가 되어있지 않다고 하면 PCBs분석을 하신다음 배출하시기 바랍니다. 관리대상기기신고가 안되어 있다고해서 배출하셨다간 나중에 벌금이 300만원입니다. PCBs분석을 해서 2ppm미만이 나오면 매각비용을 받고 처리할 수 있기때문에 꼭 분석을 하신다음 정상적인 처리절차를 거쳐 처리를 .. 더보기
관리대상기기 신고제도 안내 관리대상기기 신고제도 안내입니다. PolyChlorinatedBiphenyls(폴리염화비페닐) 이라는 유기화합물질로 전기기기의 절연유, 도료등에 폭넓게 사용, 우리나라는 1996년부터 PCBs 전면사용금지 ☞ 2008년 이전 제조된 변압기, 콘덴서등 유입식 전기기기이 약25%정도는 PCBs가 10~20ppm 함유된 절연유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중 파손, 재활용 및 폐기 시 누출 되거나 증발되어 환경오염 및 인체에 축적될 우려가 높음 ☞ 주요설치 장소 : 아파트 단지, 중·대형 상가등 【신고대상】 변압기·콘덴서·계기용변압변류기 등 유입식기기 ※ ‘08.1.27 이후 신규 제조된, PCBs농도 0.05ppm 미만은 신고대상 제외 【신고내용】 제조사, 제조년월일, 용량 및 중량, 절연유량 및 절연유교체 여부, .. 더보기
관리대상기기 처리절차 관리대상기기 신고 및 관리절차입니다. 2008년 이후 변압기는 변압기제조회사가 성적서를 발행해 주기때문에 따로 관리대상기기신고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배출할때 지정폐기물로 처리해야 하기때문에 제조사가 준 성적서는 가지고 계셔야 합니다. 관리대상기기신고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점은 언제든지 전화주시면 상담해드리겠습니다. 010 9654 9714 김형열이사 더보기
대형변압기 현장 해체 공정 40톤이 넘어가는 대형변압기의 경우 도로법에 의거 현장에서 해체작업을 하여야 합니다. 해체작업시 아래사진과 같이 안전휀스 및 방유함등을 설치하여 기름유출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대형변압기가 발생하면 언제든지 전화주세요. 대형변압기 현장해체지침을 준수하여 처리하고 있습니다. 010 9654 9714 김형열이사 방유함, 안전표지판, 컨테이너 설치 탱크로리로 절연유 제거 방열판 제거 상판 용접부위 산소절단 작업 방열판외 부자재 상차 후 공장입고 내부 중심코어 분리 구리와 규소강판 분리 외형 절단 외형 상차 후 공장 입고 더보기
PCBs에 대한 이야기 환경부에서 가져온 자료입니다. 참고로 보시기 바랍니다. PCBs가 무엇인지 잘 나와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어느덧 PCBs를 처리한지 10년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지금은 많은 PCBs함유변압기가 처리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10년정도면 한전 전주에 달려있는 변압기 및 민간에서 사용하고 있는 PCBs함유변압기는 모두 처리가 되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우리 후손들에게 건강한 땅과 물을 물려주자는 마음으로 오늘도 열심히 처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로도 나갈려고 열심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축적된 노하우를 가지고 해외로 진출하여 외화벌이도 하겠습니다.^^ 처리비용문의는 010-9654-9714 김형열이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