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재생에너지분야 /바이오가스플랜트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제안

음식물류폐기물 탈리액의 해양배출이 올해부터 금지되었는데 이것에 대한 처리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음식물처리업체에서 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하였는데 그중 몇가지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실제로 이방법은 몇개 업체에서 사용하여 효과를 본 방법이다라는것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화방법

고온호기성미생물을 활용하여 음식물과 퇴비(첨가물:왕겨+톱밥+우드칩+코코피트등)를 1:2의 비율로 섞어서

감량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양을 바로 처리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원하는 처리량을 처리하기 위해선 그만큼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즉, 고온호기성미생물(토양복합미생물)이

유기물을 충분히 처리할 수 있게끔 양생하여야 합니다. 그런 다음 부터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해서

감량화하면 됩니다. 가끔씩 기존 퇴비(?)에 첨가물은 넣어주어야 하며 한번씩 페기물의 위탁처리가 필요합니다.

이방법은 운영노하우가 필요하며 시간이 충분히 필요한 방법입니다.

2-1. 음식물류 폐기물의 탈리액 처리방법(자체 퇴비화시설이 있을 경우)

기존 퇴비화 시설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해양투기가 금지되면 사업을 접을 생각까지 가지고 계셨던 모 처리업체 사장님이

요청하셔서 도와주었던 방법입니다.

기존 퇴비화시설을 정상화하는것이 우선이라 우선 기존의 퇴비화시설의 교반기를 제대로 가동하였습니다.

그런다음 톱밥+우드칩+코코피트를 골고루 섞은 후 교반을 계속해서 하였습니다.

여기에 고온호기성미생물을 접종하여 충분히 배양하였습니다. 이 미생물은 거의 90도 이상의 열을 발생시키므로

여기에 매 시간간격으로 탈리액을 뿌려주면서 탈리액을 증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정확한 수분함량과 온도측정을 하여야 합니다. 이것이 이 방법의 노하우입니다. 또한 pH도 중요합니다.

정상화까지 6개월이상이 소요되었습니다.

2-2 . 음식물류 폐기물의 탈리액 처리방법(자체 퇴비화시설이 없을 경우)

삼상원심분리기+마이크로버블+응집제를 활용하여 유분과 잔류유기물 그리고 SS를 제거하여

BOD 1,000이하로 낮춰 공공처리장으로 반입시키는 방법입니다.

실제 이방법으로 부산에 있는 **산업에서 육상처리를 수개월째 진행하고 있습니다.

많은 민간기업에서 앞으로 이 방법을 선호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참고로 바이오가스플랜트는 음식물류폐기물이나 탈리액을 처리함에 있어 후단처리를 조금 더 쉽게

할 수 있고 약품비용도 절감하면서 에너지도 생산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설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효율적인 음식물처리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음식물쓰레기 반입-->고형물+탈리액으로 분리하여 고형물은 퇴비나 사료 또는 고형연료로 재활용,

탈리액은 삼상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유분을 제거(유분에서 식물성유지분리하여 바이오에탄올 생산)

-->바이오가스플랜트(가스생산) -->마이크로버블+천연응집제사용하여 수처리--> 발생된 슬러지는 퇴비로 재활용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면 정말 이상적일 것입니다.

앞으로는 모든 공공처리장에 바이오가스플랜트가 전처리로서 활성화되길 기대해 봅니다. 

다음 시간엔 바이오가스플랜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