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재생에너지분야 /태양광발전

지붕형 태양광발전 전북 김제 시골마을에 설치되어 있는 지붕형 태양광발전사진입니다. 더보기
버섯재배 건물에 지으려는 태양광발전설비 사진 버섯재배하는 건물에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하려고 하는 사진입니다. 이렇게 할 경우 1.5배의 가중치를 받을 수 있어서 그런지 많이들 하려고 하십니다. 올 10월달에 아버님 소유의 부지에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아버님도 버섯재배사를 지은신 후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할 예정이십니다. 인터넷으로 여기저기 알아보시더니 저보다 더 전문가가 되셨습니다. ㅎㅎ 태양광발전설비는 보통은 노후를 대비해서 하시기 때문에 철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버섯재배사를 지어서 하실려고 할 경우에도 꼼꼼하게 체크하셔야 합니다. 버섯의 종류가 많기때문에 지역의 농업기술센터등을 방문하셔서 사전에 어떤 버섯을 재배하는것이 좋은지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보통은 표고버섯이나 노루궁뎅이버섯등을 많이 재배하십니다. 그리고 지목이 계획관리.. 더보기
건축물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설비 기준 해설서 건축물에 태양광발전설비를 하면 가중치를 1.5배를 준다고 합니다. 하지만 용도에 맞지 않는 건물의 경우 가중치를 다 받을 수는 없습니다. 해당건물이 용도에 맞게 사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부속건물들이 건축물대장에 등록이 되어 있는지 또는 건물의 지붕에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할 정도로 튼튼한지등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요즘 건물을 임대나 경매롤 받아 태양광발전설비를 하시려고 하시는분들이 많이 계신데 꼼꼼하게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첨부서류는 건축물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설비에 대한 기준 해설서입니다. 중요한 내용이 자세하게 나와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보시고 궁금하신점은 연락바랍니다. 참고로 저수지에 설치할 경우에도 가중치가 1.5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이사업과 관련된 지침서가 올해안에 나올 것으로 보여집니다. 더보기
RPS관련 서류 RPS관련된 서류입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신재생에너지센터를 방문해주세요 더보기
계통한계가격 태양광발전사업자들이 전력을 판매할 수 있는 곳은 한전과 정부가 정한 발전사업자(남동발전외 13개사)가 있습니다. 한국전력에 판매하는 전력을 계통한계가격 SMP(System Marginal Price)이라고 합니다. 즉, 한전이 민간발전사업자에게 지급하는 구매단가라고 보시면 됩니다. www.kpx.or.kr/epsis 계통한계가격을 알아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12년간은 RPS+SMP를 보장받고 12년후에는 SMP만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직접 사이트에 들어가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더보기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령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나 지경부 홈페이지 또는 법제처에 가시면 더 자세한 법령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발전사업을 하려면 이정도는 한번쯤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태양광발전 의무공급량 태양광발전의무공급량입니다. 2015년부터는 별도의 의무공급량을 지정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따라야 할 것 같습니다. 더보기
2013년도 4월 판매사업자 입찰공고문 입찰공고문입니다. 참조바랍니다. 더보기
태양광발전사업 공급인증서 판매사업자 선장관련 질의 답변서 태양광발전사업 공급인증서 판매사업자 선정과 관련한 질의응답서 입니다. 요즘 많은 분들이 전화를 주시는데 신재생에너지센터에 간단한 질의응답서가 있어 첨부하오니 참조로 보시기 바랍니다. 어느정도 궁금증은 해결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태양광발전사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명심하여야 할 것이 있습니다. 첫째, 사업자 선정(모듈공급가격 및 효율, 시공능력, 서류능력, 입찰능력, 은행업무능력, 유지보수 가능여부등) 둘째, 부지선정(전,답,과수원,목장용지,임야의 5개지목은 가중치가 0.7이므로 피하여야 합니다) 셋째, 사업기간(입찰이 매년 4월과 10월에 있음) 넷째, 입찰가격(공급인증서REC 12년간 보증가격, 그 후에는 현물시장에서 1달에 한번씩 거래가 됨) 위의 네가지를 명심하시고 사업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태양광.. 더보기
태양광 발전사업 진행절차 제가 생각하는 태양광발전사업 절차입니다. 복잡하게 생각하면 끝도 없지만 아래와 같이 생각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나머지는 전문가분들이 해결해 주시니까요. ㅎㅎㅎ) 1. 설치부지를 선정한다. (반드시 지목을 확인한다. 또한 건축물이 있다면 지붕에 설치가 가능한지 확인한다.) 2. 발전사업허가를 득한다. (컨설팅을 받아 진행하되 서류작성+설계+입찰참가등과 관련된 컨설팅비용이 대략 200~300만원 정도 소요되므로 업체선정시 신중을 기한다. 되도록이면 설치업체를 같이 선정하여 이비용을 추후에 제하는것으로 한다.) 2. 매년 4월과 10월에 있는 발전사업자선정 입찰에 참여하여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공급받는다. http://rps.kemco.or.kr (발전사업자 선정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