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분야 썸네일형 리스트형 폐기물에너지화 종합대책 환경부에서 2008년도에 연구용역을 주어 발표한 자료입니다. 폐기물에너지화와 관련한 자료이오니 참조바랍니다. 더보기 바이오가스 차량용연료로 활용 몇년전부터 바이오가스를 수송용연료로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한 것 같은데 어느덧 결실을 많이 맺은 것 같습니다. 이미 유럽에선 보편화된 기술인데 우리나라는 아직 인식이 따라가질 못하고 있는 현실이죠. 유럽은 모든 유기성폐자원을 활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한 후 바이오메탄이나 수소가스로 전환한 후 차량용연료나 연료전지쪽으로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한솔EME나 유니슨등의 회사에서도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도권매립지공사에서는 한라산업개발과 같이 음폐수를 원료로 하여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모든 차량용연료로 넣고 있습니다. 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차량용연료로 바이오가스를 넣고 있는데 효율이 좋다라는 뉴스가 나오더군요. 하수슬러지를 활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회사인데 에.. 더보기 왕겨가스화에 대한 연구 왕겨가스화에 대한 연구자료입니다. 왕겨는 벼를 도정하는 과정에서 많은양이 발생합니다. 그때만 해도 왕겨의 소비처가 많지 않아 가스화연구가 되었었나 봅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서면서 육계나 축산농가가 늘어나면서 왕겨소비량이 늘어났습니다. 왕겨는 축사의 깔짚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톱밥에 비해 가격도 싸고 날리는것도 덜해 선호도가 높아졌습니다. 보통 육계농장에 가면 바닥에서 부터 30cm정도 두껍게 깔고 한달내내 기르다가 육계를 처분하고 나면 걷어내고 다시 깔아서 육계를 받곤 합니다. 하지만 몇년전부터 왕겨가 부족해지기 시작하면서 육계농장들은 왕겨를 구하기 힘들어졌다고 합니다. 도정공장에 현금을 미리주고 예약을 기다리고 있다고 하시네요. 왕겨가 없으면 비싼 톱밥을 써야 하는데 그럴 경우 경제성이 맞질 .. 더보기 scb-m 농업박람회에 참석했다가 축산과학원에서 운영하는 바이오가스플랜트 모형도가 있어 찍은 사진입니다. 농진청에서 개발하여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SCB-M(퇴비단여과+바이오가스)공법인 것 같습니다. 현재 시범사업으로 김제 백구면 공덕리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합니다. 돼지 4000두 농장에 설치하여 액비까지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후단 액비 샘플을 지인이 가져와서 봤는데 정말 깨끗하게 처리되어 냄새도 전혀 없었습니다. 관심있으신분들은 직접가서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더보기 축분연료화 기계 경북 울진군 농업기술센터에 방문했다 축분연료제조시범사업을 하고 있어 양해를 구하고 현장을 찍은 사진입니다. 주식회사 이레 라는 회사가 시범사업으로 같이 추진했던 사업이었습니다. 발열량이 높지가 않아 축분외에 다른유기물을 첨가하는 방법을 찾는다고 하셨는데 찾았는지 모르겠네요. 제가 아는 박사님을 소개시켜드렸는데 그 후에 연락을 해보지는 않아 결과는 모르겠습니다. 잘 되어서 사업이 성공하였기를 바랍니다. 더보기 전북의 유기성 폐자원을 이용한 바이오가스사업 연구 각 시.도마다 도지사나 광역시장의 자문기관으로 발전연구원이 있습니다. 이들의 역할은 지역발전이나 현안에 대해 사전조사나 연구를 하는 것입니다. 첨부자료는 전북발전연구원에서 이명박대통령 취임 후 발표한 자료입니다. 이명박대통령이 취임사에서 녹색성장을 부르짖자 지자체마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관련된 자료가 나왔습니다. 유기성폐기물자원화시설과 관련하여 발전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 중 제가 읽어본 자료에서는 가장 정리가 잘 된 자료라서 올리니 많은 참조바랍니다. 더보기 바이오연료의 기술, 경제적활용 및 보급장애요인 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발표한 바이오연료의 기술, 경제적활용 및 보급장애요인에 대한 자료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조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국내에 적합한 바이오가스 활용방안 포항공대 환경과 황석환교수님이 작성하신 자료입니다. 네오퍼플과 같이 포천에 지경부과제를 받아 15톤/일의 바이오가스플랜트를 설치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여 인증도 받았다고 합니다. 이 특허받은 기술로 현재 국내영업을 하고 계시다고 합니다. 국내 바이오가스플랜트 발전을 위해서 다년간의 노력을 하신 분입니다. 자료를 읽어보시고 궁금한 사항은 포항공대 환경과로 전화하셔서 교수님의 지도를 바랍니다. 더보기 포항산업과학연구원에서 운영중인 바이오가스플랜트 포항공과대학교에 방문했다가 찍은 사진입니다. 국책과제를 받아 설치하여 운영했던 플랜트라고 합니다. 지금은 가동중이진 않지만 외부에서 요청시 가동한다고 합니다. 음식물류폐수를 받아 처리한 후 슬러지와 소화액은 위탁처리한다고 합니다. 더보기 혐기소화중 황화합물제거 오늘시간엔 혐기소화에서의 황화합물제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혐기소화에서 왜 황화수소의 제거가 중요할까요?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혐기소화의 바이오가스에는 주성분인 메탄과 이산화탄소외에 물과 황화수소등이 나오는데 이때 황화수소는 배관이나 바이오가스엔진에 스케일을 형성시킵니다. 이렇게 형성된 스케일은 배관의 부식이나 열전달효율을 저하시킵니다. 그렇게 때문에 많은 엔지니어들이나 바이오가스관련회사들은 황화수소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음식물을 이용한 바이오가스플랜트의 경우 세제성분중 발생하는 살리실산도 문제가 되기때문에 더더욱 신경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황화수소의 제거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중 참고자료는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제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것보다 ..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