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분야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기차에 대한 필자의 생각 오늘은 전기차에 대한 저의 생각에 대해 말해 보고자 합니다. 며칠전 인천아파트에서 벤츠전기차 화재로 차량들이 불타고 아파트지하도 피해를 많이 입었다는 뉴스를 접했습니다. 인명피해가 없어 그나마 다행이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벤츠전기차가 이름도 없는 중국산배터리를 사용하여 불이난 것인데도 불구하고 언론들은 전기차가 모두 위험하다는 뉴스만 보도하였습니다. 마치 전기차를 타고다니면 불이나서 위험하다는 그리고 화재가 언제날지 모르니 다른차들도 조심해야 된다라는 인식만 강하게 심어주었습니다. 전기차소유주 모두를 죄인을 만들어 버렸습니다. 저는 올해 6월에 전기차로 바꾸고나서 친환경차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타고 다니고 있었는데 어느순간 아파트에서 죄인이 된 느낌을 받았습니다. 전기차화재 한번으로 인해 사람들의 인식.. 더보기 음식물류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사업 실태 조사 감사원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음식물류폐기물 바이오가스화사업에 대한 감사자료입니다. 참고로 보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익산 왕궁 축산단지 조만간 해결 조짐 익산 왕궁면은 옛 왕궁터전이었으나 지금은 가축분뇨 냄새로 더 유명하죠? 그렇게 해결하려고 노력했는데도 아직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를 않고 있다가 조금씩 해결이 되어 가고 있다고 합니다. 예전에 그곳에 바이오가스플랜트를 건설한 후 국제바이오연구단지도 조성하려고 했는데 그곳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이 되었던곳이라 더 애착이 갑니다. 호남고속도로를 타고가다보면 삼례인근만 가도 냄새가 나죠? 삼례에 가끔 미팅이 있어서 가면 냄새때문에 살수가 없겠더라고요. 그런데 그곳에 우석대학교라는 곳이 있는데 어떻게 그런 환경속에서 공부를 하나 궁금했습니다. 그곳학생들 정말 대단하더군요. 아마 다른 지역이었으면 학생들이 들고 일어났을텐데.... 아무튼 해결될 조짐이 보인다고 하니 다행입니다. http://www.jjan.kr/n.. 더보기 대전자원순환단지 조성사업 드디어 ... 대전시민의 숙원인 대전자원순환단지가 드디어 조성된다고 합니다. 민간투자방식과 턴키방식을 합하여 총 2000여억원이 들어가는 사업이라고 합니다. 고형연료 및 하수슬러지 연료화사업등은 민간투자로 음폐수바이오가스화는 턴키방식의 재정사업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민간에서 활발히 움직이고 있고 많은 시민들의 의식이 바뀌면서 우리나라도 바이오가스화가 발전사업이라는 인식이 심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더 많은 지자체에서 바이오가스화가 진행되어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조금이나마 힘이되는 시설이 되었으면 합니다.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862568 더보기 홍천군 소매곡리에 바이오가스플랜트 들어서다. 홍천군 소매곡리에 바이오가스플랜트가 들어선다고 합니다. 강원도시가스와 자매결연을 맺고 바이오가스를 정제하여 도시가스로 만든다음 마을주민들한테 공급한다고 합니다. 이제 서서히 바이오가스가 마을마다 들어서고 있는 것 같습니다. 더 많은 지역에서 이러한 시설이 들어설 것으로 보여집니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1028_0013259621&cID=10805&pID=10800 더보기 바이오가스플랜트 사업계획서 최경희박사님이 추진하고 계시는 국내 바이오가스플랜트 사업계획서입니다. 독일회사와 손을 잡고 바이오가스플랜트를 추진중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농림축산식품분야 재정사업관리 기본규정 제정안 공동자원화시설이나 에너지화시설을 준비중이신 분들은 참조로 보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독일 왜코텍사 소개자료 독일에서 바이오가스플랜트 공부를 하고 한국에서 사업을 하고 계신 최경희사장님의 회사 소개자료입니다. 더보기 바이오가스플랜트 업체 발표자료 바이오가스포럼때 발표했던 업체들 관련 자료입니다. 참고로 보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유기성폐자원 에너지화사업단 과제공고의 건 유기성폐자원 에너지화사업단 과제공고가 떳네요. 관심있으신분들은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한국환경기술원과 한양대학교홈페이지를 방문하셔도 볼수가 있네요. 더보기 이전 1 2 3 4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