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간엔 녹조를 활용하여 가능한 사업 한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미 유럽이나 미국등의 선진국에서는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입니다.
녹조의 경우 일반식물보다 성장률이 30배정도 빠르다고 합니다.
녹조는 영양분을 주지 않아도 자라나므로 특별한 관리(?)가 필요치 않습니다.
단, 발생된 녹조를 원활하게 수거 할 수만 있다면 좋은 바이오매스원료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매스관련된 사업을 하려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여야 하지만
녹조의 경우 자체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저수지만 4,000여개라고 하니 그 저수지에서만 나오는 녹조를 활용해도
좋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산업체중에 굴뚝을 가지고 있어 이산화탄소발생을 많이하는 분들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면
탄소배출권도 확보할 수 있고 녹조를 이용하여 바이오에탄올도 얻을 수 있어 1석2조의 사업이
될 것입니다.
굴뚝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저수지에 투입하여 녹조의 먹이로 공급하고 생산된(?)녹조를
녹조제거선을 이용하여 수거한 다음 이 녹조를 바이오에탄올로 정제하면 굉장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 미래산업은 폐기물을 활용한 에너지 생산입니다.
이러한 분야는 고속성장을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때까지 발생하는 폐기물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그중 에너지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대안이 아닐까요?
실제로 많은 녹조제거하시는 분들이 이러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작년부터 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매스사업과 관련된 제안과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과제로도 나와서 지금 한참 연구단계를 진행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은 영국에서 실제로 시멘트를 생산하는 공장에서 적용을 한 결과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이산화탄소발생량까지 줄여서 지구온난화방지에도
일조를 했다고 합니다. 며칠전 뉴스를 보니 갑자기 이산화탄소농도가 높아졌다고 합니다.
굴뚝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들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관심있으신분은 언제든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신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농면포(제초제를 대신할 친환경 농업용 부직포) (0) | 2013.05.16 |
---|---|
바이오악시젼 (0) | 2013.05.16 |
AM을 활용한 제품 (0) | 2013.04.18 |
음폐수 유분 제거 및 활용 (1) | 2013.02.18 |
진공히팅원리를 활용한 사업 (0) | 201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