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분야 썸네일형 리스트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이란? 태양광발전설비기사 시험이 올해 4차부터 시행됩니다. 무분별하게 관리되고 있는 태양광발전설비에 대해 정부가 올해부터 관리기사를 배출하여 지역을 나누어 관리를 맡기겠다는 것입니다. 다른 재생에너지도 많은데 태양광만 한다는 것은 조금 이해가 가지 않지만 그래도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식으로 다른 신.재생에너지도 관리가 들어갈 것으로 보여지니 말입니다. 아래 자료는 태양광발전설비시스템에 대해서 잘 정리가 되어 있는 자료이오니 관심이 있으신분들은 참조바랍니다. 더보기 한국환경공단에서 운영하는 바이오가스관련 카페 매년마다 환경부에서 바이오가스플랜트관련하여 포럼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분야 전문가와 공무원들이 모여서 포럼을 진행하고 있으므로 참석하시면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올해도 포럼이 있을 계획이니 카페에 가셔서 수시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http://cafe.daum.net/biogasforum 더보기 신재생에너지 융자지원사업 안내책자 신재생에너지 융자지원사업 안내책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신재생에너지센터를 방문하시면 최근 자료를 받아 보실수 있습니다. 더보기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등록 절차서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등록 절차서 입니다. 신재생에너지를 하고자하는 사업체는 반드시 등록을 하여야 하므로 절차서를 잘 읽어보시고 우리회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지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녹색인증제도 녹색인증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바이오가스플랜트설치사업을 하려면 신재생에너지전문설치기업으로 등록을 필하거나 녹색인증을 받으면 됩니다. 특히 국가를 상대로 하는 사업일 경우 인증을 받아두시면 공법사로 선정될때 별도의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치지 않고도 할 수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http://www.kiat.or.kr/site/main/index/index0001.jsp 더보기 수질기준 바이오가스플랜트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수처리를 모르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도시형이나 도농복합형의 경우 소화조후단의 발효액비를 수처리를 해야하기때문입니다. 아래는 수처리와 관련된 자료이오니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수질기준 1. 개 요 하천 수질보전을 위하여 적용하고 있는 방법은 대상하천에 대한 수질기준을 설정하여 외부 오염원에 의한 하천 수질의 오염을 방지하는 방법과 유역의 각 오염물질 배출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직접 규제하는 방법이 있다. 2. 하천 수질보전 방법 1) 하천 수질기준 하천 수질기준은 수역별 용도에 따라 목표수질을 설정한 후 유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량, 하천의 수질 및 유량, 자정작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입되는 총 오염물질의 량을 규제하는 방법이다. 이.. 더보기 시운전 지침서 바이오가스플랜트의 경우 보통 시운전 기간을 2년으로 잡고 있습니다. 1년으로 할 경우 우리나라는 4계절이 있기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잡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꼭 명심하시고 시운전기간을 2년으로 하셔야 합니다. 아래는 시운전 지침서이오니 많은 참조바랍니다. 더보기 최대 수요 전력 개념과 제어 해가 넘어갈수록 기업들은 에너지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이 전기요금이 아닐까 합니다. 산업용전기는 누진세가 없는대신 계약전력의 기본요금이 비쌉니다. 그 계약전력의 기본요금도 전년도 여름철(7~9월)의 최대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이때 공장이 바빠서 전기를 많이 사용하면 그 다음해에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몇년전부터 최대 피크가 넘어갈 경우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비들도 많이 나와 있습니다. 즉, 많이 사용하지 않는 순서(중요하지 않은 순서로) 차단을 시켜 최대 피크치를 넘기지 않게 하는 것이죠. 요즘들어 에스코사업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실행은 십년정도 되었는데 그동안은 그렇게 이슈가 되지 못하다가 작년부터 대기업을 중심.. 더보기 탄소배출계수 산정방법 바이오가스플랜트의 경제성을 분석할때 탄소배출권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조만간에 탄소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될 예정이므로 이부분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아래를 잘 읽어 보시고 경제성분석을 할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탄소배출계수의 정의 구분 석유환산계수 탄소배출계수 원유 1 kg/kg 0.829 ton C/toe 경유 0.92 0.837 가솔린 0.83 0.783 LNG 1.05 0.637 단, 전기의 경우 국가별 발전용 연료의 구성에 따라 공고한 탄소배출계수가 별도로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0.1319kg C/ kwh 입니다. 이것을 이산화탄소로 환산(44/12)하면 0.4836kg CO2/kwh 입니다. 에너지별 CO2 방출량 산출 먼저 에너지별 CO2 방출량을 알기 위해서는 탄소배출계수에 대해서 알아야.. 더보기 열병합발전기(CHP) 바이오가스플랜트에서 제일 중요한부분은 가스생산이고 이 발생된 가스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하는가? 입니다. 대부분의 바이오가스플랜트시설에서는 가스열병합발전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CHP(Combined heat & power)라고 부르고 우리말로 해석하면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복합기란 뚯입니다. 효율은 대부분이 30% 손실, 30% 전기생산, 40% 열생산 입니다. 경제성으로 보면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직접 공급하여 사용하면 열병합발전기를 가동했을 때보다 경제성은 2배이상 올라가지만 대부분의 바이오가스플랜트시설이 외지에 뚝 떨어져 있다보니 생가스로 직접 공급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가스공사에서도 바이오가스공급을 검토하다가 이런 문제때문에 보류시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다른 방법으론 생산된 바이.. 더보기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