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재생에너지분야

막여과의 원리 바이오가스플랜트에서 가스생산만큼 중요한 것은 후단의 소화액처리입니다. 도시형의 경우 퇴.액비가 힘들기때문에 필수적으로 수처리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공공처리장 수처리시설은 막을 이용한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막여과의 원리에 대해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수기도 모두 막구조로 이루어져 있기때문에 알아두시면 편리합니다. 더보기
혐기성소화 총론 아래자료는 한국유기성폐자원학회에서 발간한 자료입니다. 혐기성소화에 대해 자세하게 나와 있으니 읽어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입니다. 또한 매년 폐기물협회에서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받아 보시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혐기성소화공정에 의한 바이오가스화의 기술 원리 및 응용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혐기성소화기술) 한국유기성 폐자원 학회 편집위원회 김남천, 유기영, 안중우, 김영준, 허관, 정연구, 배재근 서울시 노원구 공능동 172/ 02-972-8913, E-mail : kowrec@hitel.net 1. 서 언 혐기성소화처리는 예전부터 기술이 확립되어 발전되어 오고 있는 전통적인 기술로서, 비교적 기온이 온난한 지역에서 액상 및 반고상폐기물의 처리에 이용되었다. .. 더보기
환경용어 환경에 처음 입문한 사람들은 대두분 생소한 용어때문에 힘들어 합니다. 기본적인 환경용어를 정리해 놓았으니 아래를 보고 참조바랍니다. 저도 처음엔 힘들었지만 간단한 용어를 정리한 후 암기한 다음 현장에 나가 직접 시설들을 보고나면 다음부터는 이해가 빨리 될 것 입니다.HRT(Hydraulic Retention Time): 수리학적 체류 시간 수리학적 체류 시간이란 일정한 조에 일정 유량의 유체가 체류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하는 것 입니다. 즉, 어떤 부피의 조에 일정 유량의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그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을 말하는 것 입니다. 조의 체적과 유량을 알면 간단히 시간을 구할 수 있습니다. HRT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반응조 용량을 조절하던가 유입 유량을 조절하면 됩니다. 수리학적 평균체류시간 HRT.. 더보기
공동자원화시설 경제성 검토 정부가 2102년 가축분뇨의 해양배출 중단을 대비해 가축분뇨공동자원화시설의 확충을 지원하고, 이런 시설을 활용해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부합하는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사업에도 들어갔다. 하지만 막상 공동자원화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현장에서는 비싼 전기료와 유류대 등으로 수지타산을 맞출 수 없다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가축분뇨 해양배출 전면중단을 대비해 2012년까지 공동자원화시설을 70개소로 확대하는 등 가축분뇨자원화시설을 확충해나가고 있다. 또 2020년까지 공동자원화시설 150개를 설치해 돼지분뇨 550만톤을 처리하되 이중 100곳을 에너지화시설로 설치해 연간 365만톤을 바이오에너지로 바꾸겠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그런데 공동자원화시설을 운영해온 현장에서는 당장의 운영비 마련도.. 더보기
음식물쓰레기 소각처리 관련 뉴스에 대한 생각과 문제점 해결 방안 KBS9시 뉴스에서 "음식물쓰레기 소각처리하고 있다?" 라는 기사를 봤습니다. 이미 예견됐던 일인데 새삼스럽게 주목받고 있는것이 약간 웃기긴 했습니다. 음식물폐수는 몇년전부터 몇몇지자체에서 소각장의 발열량조절이나 NOx를 잡는다는 구실로 소각을 하고 있었습니다.(일일발생량 10톤미만의 지자체의 경우 위탁처리하기가 애매하여 자체 소각처리나 공공수처리장의 C/N비 조절용으로 사용하였음) 하지만 노즐의 막힘이나 노의 벽면에 스케일이 많이 끼면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밖에도 다이옥신발생등의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사용을 꺼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왜 이제와서 이러한 뉴스가 나왔을까요? 제 생각인데 처리업체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있으니 해양투기를 연기해야한다라든지 아니면 처리비를 올려야 한다라고 국민을 상.. 더보기
바이오가스플랜트 관련 법규 바이오가스플랜트를 하려면 아래와 같은 법규를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발전사업절차서가 있으니 그것을 보고 잘따라서 실행하시면 됩니다. 시.군을 상대로 하는 공사의 경우 처음 착공부터 준공까지 모든 서류가 완벽해야 하므로 착공계부터 준공계까지의 서류 준비를 잘하셔야 합니다. 제가 바이오가스발전설비와 관련하여 인허가를 하다보니 아래와 같은 법은 필수적으로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법제처에 가셔서 검색을 하시면 됩니다. 관련된 분야는 어느정도 숙지하고 있으면 편리합니다. 폐기물관리법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대기환경보전법 수생태보전법 토양환경보전법 신재생에너지법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전기사업법 환경개선비용 부담법 환경영향평가법 가스사업법 등 수시로 보시는것이.. 더보기
바이오가스 발전사업 및 기타 발전사업 매뉴얼 참조바랍니다. 더보기
환경 및 친환경농업관련 참고사이트 http://www.ipet.re.kr/ 농림부 연구과제신청 http://manual.agrix.go.kr/home/index.php 농림수산사업시행지침서 http://www.gtnet.go.kr/index.jsp 녹색기술정보포털사이트 http://www.duem.or.kr/index.php 부산물비료협회 http://www.naas.go.kr/organic/ 유기농정보센터 http://farm.boseong.go.kr/index.html 친환경유기농자재관련(보성군) http://www.keiti.re.kr/action.do 환경부 과제신청 http://www.kefama.or.kr/index.asp 친환견농자재협회 http://www.knrea.or.kr/ 신재생에너지협회 http://www.epa.o.. 더보기
가축분뇨 처리 방법 제안 가축은 농림부에서 관리를 하지만 가축분뇨는 폐기물로 분리가 되어 환경부에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시.군마다 축산폐수공공처리장이 있어 상등수의 깨끗한(?)뇨만 처리하고 있지만 처리시설이 늘어나는 가축의 수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분은 퇴비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 바이오가스플랜트를 기존 축산폐수공공처리장과 연계하여 설치 및 운영한다면 운영비도 많이 절감할 수 있고 처리량도 많이 늘릴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예산이 많이 투입되므로 지자체와 민간투자기업들이 신중하게 협의하여 결정할 사항입니다. 가축분뇨의 처리는 비단 농장주들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육류소비가 해마다 늘고 있는 현실속에서 안전한 먹거리를 확보해야하는 우리모두의 일이기도 합니다. 2012.. 더보기
또 불산 유출이 되었다는 뉴스입니다. 왜 제가 사는 주변에는 이러한 유독물이 많은 건지.... 저번에는 발암물질이 제일 많이 나온다고 하더니 이번에는 듣기만해도 끔찍한 불산이 유출되었다고 하네요. 폐수처리장으로 들어갔으니 안심하라고 하는데.... 결국엔 지하수로 다시 들어가든가 아니면 우리한테 돌아오겠죠. 끔찍한 암이 되어서.... [경기방송 = 박상욱 기자] 어젯밤 9시 50분쯤 충북 청주시 송정동의 한 LCD 공장에서 불산 혼합액이 유출되는 사고가 났습니다. 공장 측은 근로자 28살 주 모씨가 불산 용액이 지나는 파이프를 파손해 불산 혼합액 2천5백 리터가 유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주 씨는 이 용액에 노출돼 현재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공장 측은 사고 직후, 공장 직원들이 곧바로 파이프 밸브를 잠가 추가 유출은 없었으며 이미 새어.. 더보기